KAIST·충남대, 킬러 T세포의
sans339
0
2
11.05 12:24
마케팅프로그램판매
KAIST·충남대, 킬러 T세포의 ‘브레이크’ 메커니즘 밝혀(오른쪽부터) 신의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김소영 KAIST 박사과정생, 박수형 KAIST 교수,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KAIST 국내 연구진이 폭주하는 킬러 T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향후 면역 과잉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전망이다.신의철·박수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킬러 T세포의 비특이적 활성화가 일어나는 분자적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면역학(Immunity)’에 지난 10월 31일(현지 시각) 게재됐다.킬러 T세포(CD8+ T세포)는 감염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제거해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면역세포지만, 반응이 과도해지면 감염되지 않은 정상 세포까지 공격해 염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잉 면역 반응은 중증 바이러스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사이토카인’ 중 ‘인터루킨-15(IL-15)’라는 물질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2018년 세계 최초로 사이토카인에 의해 비특이적으로 활성화된 킬러 T세포가 아무 세포나 무작위로 공격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비특이적 T세포 활성화로 명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이러한 비특이적 활성화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실험 결과, IL-15는 킬러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흥분시켜 감염되지 않은 세포까지 공격하게 만들지만, 반대로 바이러스 감염 등 항원 자극이 있을 때는 이러한 과잉 반응을 억제했다.이러한 억제 작용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가 변하면 칼시뉴린(calcineurin)이란 단백질이 작동하고, 이 신호가 NFAT라는 조절 단백질을 움직여 킬러 T세포의 행동을 제어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즉 IL-15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포 내부의 칼시뉴린–NFAT 경로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다.또 연구진은 일부 면역억제제가 이 칼시뉴린 경로를 차단해 면역을 억제하기는커녕 오히려 특정 상황에서는 IL-15에 의한 킬러 T세포의 과도한 활성KAIST·충남대, 킬러 T세포의 ‘브레이크’ 메커니즘 밝혀(오른쪽부터) 신의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김소영 KAIST 박사과정생, 박수형 KAIST 교수,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KAIST 국내 연구진이 폭주하는 킬러 T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향후 면역 과잉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전망이다.신의철·박수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킬러 T세포의 비특이적 활성화가 일어나는 분자적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면역학(Immunity)’에 지난 10월 31일(현지 시각) 게재됐다.킬러 T세포(CD8+ T세포)는 감염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제거해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면역세포지만, 반응이 과도해지면 감염되지 않은 정상 세포까지 공격해 염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잉 면역 반응은 중증 바이러스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사이토카인’ 중 ‘인터루킨-15(IL-15)’라는 물질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2018년 세계 최초로 사이토카인에 의해 비특이적으로 활성화된 킬러 T세포가 아무 세포나 무작위로 공격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비특이적 T세포 활성화로 명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이러한 비특이적 활성화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실험 결과, IL-15는 킬러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흥분시켜 감염되지 않은 세포까지 공격하게 만들지만, 반대로 바이러스 감염 등 항원 자극이 있을 때는 이러한 과잉 반응을 억제했다.이러한 억제 작용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가 변하면 칼시뉴린(calcineurin)이란 단백질이 작동하고, 이 신호가 NFAT라는 조절 단백질을 움직여 킬러 T세포의 행동을 제어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즉 IL-15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포 내부의 칼시뉴린–NFAT 경로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다.또 연구진은 일부 면역억제제
마케팅프로그램판매
KAIST·충남대, 킬러 T세포의 ‘브레이크’ 메커니즘 밝혀(오른쪽부터) 신의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김소영 KAIST 박사과정생, 박수형 KAIST 교수,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KAIST 국내 연구진이 폭주하는 킬러 T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향후 면역 과잉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전망이다.신의철·박수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킬러 T세포의 비특이적 활성화가 일어나는 분자적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면역학(Immunity)’에 지난 10월 31일(현지 시각) 게재됐다.킬러 T세포(CD8+ T세포)는 감염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제거해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면역세포지만, 반응이 과도해지면 감염되지 않은 정상 세포까지 공격해 염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잉 면역 반응은 중증 바이러스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사이토카인’ 중 ‘인터루킨-15(IL-15)’라는 물질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2018년 세계 최초로 사이토카인에 의해 비특이적으로 활성화된 킬러 T세포가 아무 세포나 무작위로 공격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비특이적 T세포 활성화로 명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이러한 비특이적 활성화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실험 결과, IL-15는 킬러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흥분시켜 감염되지 않은 세포까지 공격하게 만들지만, 반대로 바이러스 감염 등 항원 자극이 있을 때는 이러한 과잉 반응을 억제했다.이러한 억제 작용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가 변하면 칼시뉴린(calcineurin)이란 단백질이 작동하고, 이 신호가 NFAT라는 조절 단백질을 움직여 킬러 T세포의 행동을 제어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즉 IL-15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포 내부의 칼시뉴린–NFAT 경로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다.또 연구진은 일부 면역억제제가 이 칼시뉴린 경로를 차단해 면역을 억제하기는커녕 오히려 특정 상황에서는 IL-15에 의한 킬러 T세포의 과도한 활성KAIST·충남대, 킬러 T세포의 ‘브레이크’ 메커니즘 밝혀(오른쪽부터) 신의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김소영 KAIST 박사과정생, 박수형 KAIST 교수,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KAIST 국내 연구진이 폭주하는 킬러 T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향후 면역 과잉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전망이다.신의철·박수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진은 은혁수 충남대 의과대학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킬러 T세포의 비특이적 활성화가 일어나는 분자적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면역학(Immunity)’에 지난 10월 31일(현지 시각) 게재됐다.킬러 T세포(CD8+ T세포)는 감염된 세포만 선별적으로 제거해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면역세포지만, 반응이 과도해지면 감염되지 않은 정상 세포까지 공격해 염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잉 면역 반응은 중증 바이러스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사이토카인’ 중 ‘인터루킨-15(IL-15)’라는 물질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2018년 세계 최초로 사이토카인에 의해 비특이적으로 활성화된 킬러 T세포가 아무 세포나 무작위로 공격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이를 비특이적 T세포 활성화로 명명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 이러한 비특이적 활성화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실험 결과, IL-15는 킬러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흥분시켜 감염되지 않은 세포까지 공격하게 만들지만, 반대로 바이러스 감염 등 항원 자극이 있을 때는 이러한 과잉 반응을 억제했다.이러한 억제 작용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가 변하면 칼시뉴린(calcineurin)이란 단백질이 작동하고, 이 신호가 NFAT라는 조절 단백질을 움직여 킬러 T세포의 행동을 제어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즉 IL-15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포 내부의 칼시뉴린–NFAT 경로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것이다.또 연구진은 일부 면역억제제
마케팅프로그램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