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사
oreo
0
3
6시간전
노동·시민사회단체 주4일 네트워크가 4월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주 4일제 도입 및 노동시간 단축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간경향]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일제히 ‘주 4.5일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장시간 노동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회적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주 4.5일제는 대선의 주요 정책의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두 정당이 제시한 정책은 겉으로는 유사하지만, 추진 목표와 실행 방식은 근본적으로 다르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임금 손실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한국사회의 장시간 노동 구조를 바꾸겠다는 입장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평균 연간 노동시간은 1872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여섯 번째로 높다. OECD 평균 연간 노동시간은 1742시간으로 한국보다 약 130시간 적다. 이 후보는 지난 4월 30일 자신의 SNS에서 “평균 노동시간을 2030년까지 OECD 평균 이하로 단축하겠다”라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고 주 4.5일제 도입 기업에 확실한 지원방안을 만들어 장기적으로 주 4일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또 장시간 노동과 ‘공짜 노동’의 원인으로 지목돼온 포괄임금제를 근본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지속 가능한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해 과감한 정책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도 했다.반면 국민의힘이 제시한 주 4.5일제는 근무시간 단축이 아닌 유연근무제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권영세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4월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주 4.5일제’ 도입을 대선 공약으로 발표했다.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은 유지하되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하루 9시간, 금요일은 4시간만 근무하는 방식으로 근무일을 조정하는 것이 골자다. 여기에 주 52시간 상한제 폐지를 더하면서 국민의힘의 ‘주 4.5일제’는 실질적인 노동시간 단축이 아닌 유연근무체계 확산에 방점을 찍고 있다. 제도적으로는 장시간 노동이 가능해지는 구조다.사회적 의제로 부상한 ‘주 4.5일제’여론은 실질적인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게 음모·배신·독재·쿠데타·탈주…. 소설에나 어울리는 이런 스토리로 가득한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일본 자동차기업 닛산자동차이죠. 25년 만에 최대 규모 적자를 내며 휘청거리고 있는 닛산. 그 추락의 기원을 따져보니 파벌 싸움과 내부 총질이 끊이지 않는 취약한 조직문화가 드러나는데요. ‘기술의 닛산’을 망가뜨린 분열과 암투의 역사를 들여다보겠습니다. 한때는 일본 2위, 지금은 3위의 자동차 제조사 닛산자동차. 대규모 적자로 또다시 경영 위기에 빠졌다. AP 뉴시스 *이 기사는 5월 16일 발행한 딥다이브 뉴스레터의 온라인 기사 버전입니다. ‘읽다 보면 빠져드는 경제뉴스’ 딥다이브를 뉴스레터로 구독하세요.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25년 만의 최대 적자“매우 슬프고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입니다.”5월 13일 일본 요코하마 본사에서 열린 기자회견. 이반 에스피노사 닛산자동차 사장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발표합니다. 생산시설 7곳을 폐쇄하고(17곳→10곳), 총 2만명 인력(전체 직원의 15%)을 감축한다는 계획이죠. 지난해 무려 6709억엔(6조4000억원)의 엄청난 순손실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판매 부진에서 헤어날 길이 보이지 않는데, 돈은 바닥났고, 부채 만기는 다가오는 상황. 혼다와 추진했던 합병 계획은 올해 2월 무산됐죠. 일단 허리띠를 졸라매며 버텨야 하는데, 새로운 구명줄을 잡지 않는 한 위태롭습니다. 에스피노사 대표는 새로운 파트너십(=돈줄) 체결과 관련해 이렇게 말합니다.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빠를수록 좋습니다.” 이반 에스피노사 닛산 CEO가 5월 13일 2024년 실적과 함께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닛산의 이번 구조조정 계획엔 ‘Re:Nissan’이란 이름을 붙였는데, 1999년 카를로스 곤이 발표했던 ‘닛산 리바이벌 플랜’을 떠올리게 하는 명칭이다. 닛산 제공 닛산의 심각한 적자와 경영 위기, 그리고 외부 수혈 모색. 이거 어딘지 많이 본 듯한 이야기 아닌가요. 1999년 프랑스 르노가 닛산을 구원했던 바로 그때 상황과 똑 닮아있죠. 비슷한 멜로디가 반복되는 건 우연일까요. 언뜻 보면 지금 닛산의 위기는 경영 실책+외부 환경의 변화(트럼프 관세 등) 탓으로 보이지만요. 닛산자동차 역사를 좀 더 길게 보면, 이건 결국 닛산의 폐습 내지 고질병과